본문 바로가기
정보처리기사 필기/[4과목] 프로그래밍언어활용

[정보처리기사] OSI-7계층, TCP/IP

by Devinus 2021. 3. 5.

1. OSI-7 계층(OSI-7 Layer)

- OSI 참조 모델은 다른 시스템 간 원활한 통신을 위해 ISO(국제표준화기구)에서 제안한 통신 규약(Protocol)이다.

- 리 -> 이터 링크 -> 트워크 -> 송 -> 션 -> 현 -> 용 계층 순으로 1~7 계층을 구성한다.

▶ 물데네전세표응

 

1.1. 물리 계층

프로토콜 데이터 단위
(PDU; Protocol Data Unit)
비트
기능 절차적 특성에 대한 규칙정의
표준 RS-232C, X.21
관련 장비 리피터, 허브

 

1.2. 데이터 링크 계층

프로토콜 데이터 단위
(PDU; Protocol Data Unit)
프레임
기능 흐름제어, 동기화, 오류&순서 제어
표준 HDLC, LAPB, LLC, MAC, LAPD, PPP
관련 장비 랜카드, 브리지, 스위치

 

1.3. 네트워크 계층

프로토콜 데이터 단위
(PDU; Protocol Data Unit)
패킷
기능 경로 설정, 트래픽 제어, 패킷 정보 전송, 데이터 교환&중계
표준 X.25, IP
관련 장비 리피터, 허브

 

1.4. 전송 계층

프로토콜 데이터 단위
(PDU; Protocol Data Unit)
세그먼트
기능 연결 해제, 주소 설정, 다중화, 오류&흐름제어
표준 TCP, UDP
관련 장비 게이트웨이

 

1.5. 세션 계층

프로토콜 데이터 단위
(PDU; Protocol Data Unit)
메시지
기능 대화 구성 및 동기 제어, 데이터 교환 관리

 

1.6. 표현 계층

프로토콜 데이터 단위
(PDU; Protocol Data Unit)
메시지
기능 코드 변환, 데이터 암호화&압축, 구문 검색, 정보 형식 변환, 문맥 관리

 

1.7. 응용 계층

프로토콜 데이터 단위
(PDU; Protocol Data Unit)
메시지
기능 정보 교환, 파일 전송, 전자사서함, 가상터미널

 

2. TCP/IP

- 인터넷에 연결된 서로 다른 기종의 컴퓨터들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표준 프로토콜이다.

TPC
(Transmission Control Protocol)
- OSI 7계층의 전송 계층
- 신뢰성 있는 연결형 서비스
- 패킷의 다중화, 순서 제어, 오류 제어, 흐름 제어 기능
- 스트림(stream) 전송 기능
IP
(Internet Protocol)
- OSI 7계층의 네트워크 계층
- 데이터그램을 기반으로 하는 비연결형 서비스
- 패킷의 분해/조립, 주소 지정, 경로 선택 기능
- 헤더의 길이는 최소 20Byte에서 최대 60Byte

 

OSI TCP/IP 기능
응용 계층
표현 계층
세션 계층
응용 계층 - 응용 프로그램 간의 데이터 송 수신 제공
- TELNET, FTP, SMTP, DNS, HTTP 등
전송 계층 전송 계층 - 호스트들 간의 신뢰서 있는 통신 제공
- TCP, UDP
네트워크 계층 인터넷 계층 - 데이터 전송을 위한 주소 지정, 경로 설정을 제공
- IP, ICMP, IGMP, ARP, RARP
데이터 링크 계층
물리 계층
네트워크 액세스 계층 - 실제 데이터(프레임)를 송 수신하는 역할
- Ethernet, IEEE 802, HDLC, X.25, RS232C, ARQ 등

 


 

정보처리기사 필기 기출문제

 

62.
TCP/IP 프로토콜 중 전송계층 프로토콜은?
[정답률: 71%] 정보처리기사(2020년 이후) 필기 (2020년 1회·2회 통합 기출문제)
① HTTP  
② SMTP  
③ FTP  
④ TCP 전송 계층 - TCP

 

69.
TCP/IP 네트워크에서 IP주소를 MAC 주소로 변환하는 프로토콜은?
[정답률: 30%] 정보처리기사(2020년 이후) 필기 (2020년 1회·2회 통합 기출문제)
① UDP  
② ARP 본문에서 다루진 않았지만
IP -> MAC - ARP
MAC -> IP - RARP
③ TCP  
④ ICMP  

 

80.
OSI-7계층에서 종단 간 신뢰성 있고 효율적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오류검출과 복구, 흐름제어를 수행하는 계층은?
[정답률: 27%] 정보처리기사(2020년 이후) 필기 (2020년 1회·2회 통합 기출문제)
① 전송 계층 종단 간, 오류, 흐름 제어 - 전송 계층
링크, 오류, 순서 제어 - 데이터 링크 계층
② 세션 계층  
③ 표현 계층  
④ 응용 계층  

 

69.
TCP 프로토콜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?
[정답률: 26%] 정보처리기사(2020년 이후) 필기 (2020년 3회 기출문제)
① 신뢰성이 있는 연결 지향형 전달 서비스이다.  
② 기본 헤더 크기는 100byte이고 160byte까지 확장 가능하다. TCP 헤더는 최소 20byte, 최대 40byte까지 확장 가능하다.
③ 스트림 전송 기능을 제공한다.  
④ 순서제어, 오류제어, 흐름제어 기능을 제공한다.  

 

71.
OSI-7Layer에서 링크의 설정과 유지 및 종료를 담당하며, 노드간의 오류제어와 흐름제어 기능수행하는 계층은?
[정답률: 89%] 정보처리기사(2020년 이후) 필기 (2020년 3회 기출문제)
① 데이터링크 계층 링크 설정, 오류제어와 흐름제어 - 데이터 링크 계층
② 물리 계층  
③ 세션 계층  
④ 응용 계층  

 

65.
OSI 7계층에서 단말기 사이에 오류 수정과 흐름제어를 수행하여 신뢰성 있고 명확한 데이터를 전달하는 계층은?
[정답률: 57%] 정보처리기사(2020년 이후) 필기 (2020년 4회 기출문제)
① 전송 계층 단말기 사이(종단 간), 오류수정과 흐름제어 - 전송 계층
링크
② 응용 계층  
③ 세션 계층  
④ 표현 계층  

 

72.
TCP 흐름제어기법 중 프레임이 손실되었을 때, 손실된 프레임 1개를 전송하고 수신자의 응답을 기다리는 방식으로 한 번에 프레임 1개만 전송할 수 있는 기법은?
[정답률: 34%] 정보처리기사(2020년 이후) 필기 (2020년 4회 기출문제)
① Slow Start  
② Sliding Window  
③ Stop and Wait 전송 후 응답을 기다림 - Stop and Wait
④ Congestion Avoidance  

 

76.
UDP 특성해당되는 것은?
[정답률: 31%] 정보처리기사(2020년 이후) 필기 (2020년 4회 기출문제)
① 데이터 전송 후, ACK를 받는다.  
② 송신 중에 링크를 유지 관리하므로 신뢰성이 높다.  
③ 흐름제어나 순서제어가 없어 전송속도가 빠르다. UDP는 TCP와 다르게 흐름제어나 순서제어가 없어 전송속도가 빠르다.
④ 제어를 위한 오버헤드가 크다.  

 

78.
TCP/IP에서 사용되는 논리주소를 물리주소로 변환시켜 주는 프로토콜은?
[정답률: 32%] 정보처리기사(2020년 이후) 필기 (2020년 4회 기출문제)
① TCP  
② ARP 논리주소(IP) -> 물리주소(MAC) - ARP
③ FTP  
④ IP